학점은행제로 IT전공 공부하고 4년제 학위취득 빠바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학점은행제라는
국가 교육제도를 가지고 IT전공을 해서
4년제 학위를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려해요.
아무래도 4차산업형명이 되면서 많은 분들이
IT분야 직업으로 이직, 취업을 생각하시죠.
하지만 이런 분들의 가장 큰 고민!!
바로 IT분야 전공 혹은 4년제 학위에요.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특성상 학위와 전공여부는
취업에 있어서 중요하죠.
하지만 이런 IT분야로 취업을 하려는 분들이
직장인분들의 경우에는 이미 학교를 졸업했고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도 2년제 전문대이거나
아니면 4년제 비전공자분들이 아주 많죠.
하지만 이런분들도 IT전공을 공부해서
4년제 학위취득을 할 수 있는 학점은행제가 있어요.!!!!!
학점은행제란 뭐냐? 학교를 다니지 않고도
온라인강의 수강, 자격증 취득
독학사 시험 합격, 전적대 학점 인정이라는
4가지 방법을 통해서 학점을 충족시키면
관련 IT전공을 공부한 4년제 학위가 나오는거죠.
그렇다보니 이런 부분을 아는사람들만
이용하고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용을 잘 안해요.
당장 취업을 하더라도 IT전공이 있는 분들은
연봉협상이나 진급에 있어서 유리하고
같은 실력이라면 당연하게 학위나 전공여부에서
평가가 갈리는건 우라나라의 특성상 어쩔 수 없죠.
어쨋든 이런 학점은행제를 통해 IT전공을 공부하면
좋은점이 많이 있어요. 우선 자신이 it전공을 공부하면서
컴공, 정보보호, 정보통신 분야의 전공필수 수업을 듣고
적성에는 자신이 맞는지? 혹은 자신이 미래에 일할 분야에 대한
지식을 어느정도 쌓고 분야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죠.
또 학점은행제를 통해 IT전공을 공부하면서
자격증도 취득을 할 수 있습니다. 안그래도 IT분야 취업을
하려면 자격증취득도 필요하고 자격증취득을
하면 학점인정도 되고 취업대비도 되니까
굉장히 좋죠. 또 아무 관련없는 자격증이 아니라
자신의 전공에 맞는 IT분야 자격증이다보니
취읍을 하는데 있어서도 굉장히 유리합니다.
학점은행제를 하면서 동시에 자격증취득을 할 수 잇는
교육기관에서 공부한다면 더 유리한건 안비밀~!!
학점은행제를 통해 IT전공을 공부하면 좋은점이
또 하나있습니다. 일반 4년제 학교를 다니는것보다
시간도 절반정도밖에 안걸리고 비용도
일반 4년제 학교의 등록금과 비교해서 굉장히
저렴한 편이죠. 그렇다보니 학점은행제로
일부러 공부하는 분들이 많죠.
이렇게 학점은행제로 공부를 하더라도
우선 첫단추가 가장 중요합니다.
IT분야로 취업을 하고 IT전공을 공부할거라면
IT전문교육기관이나 전문학원에서 개설한
학점은행제 수업을 듣는게 훨신 도움이 되겠죠.
아무래도 전문강사, 전문가의 강의이기도 하고
컴공, 정보보호,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강사분들이
전공필수 과목을 수업하시니까?
이렇게 학점은행제로 IT전공을 공부하고
교육기관을 찾으면 이제 가장 중요한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세우는 부분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취업할 IT분야의 직업과 그것에 맞는
학점은행제 전공 그리고 관련 자격증들은
어떻게 되는지? 자신이 생각하는 공부 계획기간은
이런데 그것에 맞춰서 학점은행제를 어떻게
진행하는게 취업에 있어 효율적인지 관련
전문 상담사와 1:1로 상담을 통해서 알아보는게 가장
좋죠. 아무래도 혼자서 알아보는건 힘들 수 밖에 없죠.
여기까지 학점은행제로 IT전공을 공부하고 4년제 학위취득을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IT취업 진학
자격증, 학위취득 관련 상담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 꿀 tip으로 it진학, 취업, 자격증취득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고 관련 필기시험 기출문제나
유용한 정보들이 많은 네이버 카페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관련 글이나 최신 정보를 원하신다면
한번 방문해보시는것도 나쁘진 않겠죠?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의해킹 전문가 국비지원 무료교육 (0) | 2017.03.24 |
---|---|
IT 미래 유망 직업 종류 알아보기 (0) | 2017.03.24 |
프로그래밍학원 - 어떤공부를 어떻게 시작할까.? (0) | 2017.03.23 |
서버개발자가 되려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 될까요?? (0) | 2017.03.23 |
우분투 - 대표적인 리눅스 운영체제 (0) | 2017.03.23 |